‘골 때리는 그녀들’은 여성 연예인·스포츠 스타들이 축구 경기에 도전하며 팀워크와 승부의 짜릿함을 선사하는 스포츠 버라이어티입니다.
2021년 파일럿을 시작으로 매회 뜨거운 반응을 얻어 정규 편성된 뒤, 연이은 시즌과 스페셜 편성을 통해 축구의 재미를 대중에게 널리 알렸습니다.
진행자와 해설위원, ‘골 때리는 연맹’ 위원장·선수협회장 등 다양한 캐릭터가 조화를 이루며, 매주 수요일 밤 축구 열기로 수요일 밤을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골 때리는 그녀들 기본 정보
- 방송사: SBS TV
- 방영 기간:
- 1기: 2021년 6월 16일 ~ 2024년 7월 3일
- 세계관 확장: 2024년 7월 10일 ~ 2024년 11월 27일
- 재개편: 2024년 12월 11일 ~ 현재
- 편성 시간: 매주 수요일 밤 9:00 ~ 10:40 (100분)
- 기획: 곽승영 (SBS 예능본부)
- 책임 프로듀서: 박성훈 (SBS 예능운영팀)
- 제작사: 스튜디오 프리즘
- 연출: 김화정, 권형구, 이채희 외 다수
- 극본(작가): 장정희, 채주희 외 다수
- 진행·해설:
- 진행자: 배성재
- 해설위원: 이근호
- ‘골 때리는 연맹’ 위원장: 하석주
- 선수협회장: 조혜련
- 주요 출연진(해설): 이수근, 배성재
- 장르: 스포츠 버라이어티, 스포츠
골 때리는 그녀들 편성표
편성 | SBS |
06.25. (수) | 21:00 |
편성 | SBS funE |
06.27. (금) | 08:40 177회 |
07.01. (화) | 07:10 재방송 |
편성 | SBS Plus |
06.27. (금) | 05:50 177회 |
골 때리는 그녀들 회차 정보
회차 | 방영일 | 시청률 |
176회 | 2025년 06월 18일 (수) | 5.3% |
175회 | 2025년 06월 11일 (수) | 5.0% |
174회 | 2025년 06월 04일 (수) | 4.5% |
167회 | 2025년 04월 16일 (수) | 5.6% |
166회 | 2025년 04월 09일 (수) | 4.5% |
160회 | 2025년 02월 26일 (수) | 4.8% |
159회 | 2025년 02월 19일 (수) | 4.9% |
158회 | 2025년 02월 12일 (수) | 4.7% |
157회 | 2025년 02월 05일 (수) | 5.5% |
156회 | 2025년 01월 22일 (수) | 5.0% |
154회 | 2025년 01월 08일 (수) | 5.1% |
153회 | 2025년 01월 01일 (수) | % |
152회 | 2024년 12월 25일 (수) | 4.5% |
151회 | 2024년 12월 18일 (수) | 4.8% |
150회 | 2024년 12월 11일 (수) | 4.9% |
149회 | 2024년 07월 03일 (수) | 4.7% |
148회 | 2024년 06월 26일 (수) | 5.2% |
147회 | 2024년 06월 19일 (수) | 5.3% |
146회 | 2024년 06월 12일 (수) | 5.5% |
145회 | 2024년 06월 05일 (수) | 5.6% |
144회 | 2024년 05월 29일 (수) | 5.4% |
143회 | 2024년 05월 22일 (수) | 5.2% |
142회 | 2024년 05월 15일 (수) | 5.4% |
141회 | 2024년 05월 08일 (수) | 4.8% |
140회 | 2024년 05월 01일 (수) | 5.6% |
139회 | 2024년 04월 24일 (수) | 5.2% |
138회 | 2024년 04월 17일 (수) | 5.2% |
137회 | 2024년 04월 03일 (수) | 6.1% |
136회 | 2024년 03월 27일 (수) | 6.0% |
135회 | 2024년 03월 20일 (수) | 5.9% |
134회 | 2024년 03월 13일 (수) | 5.7% |
133회 | 2024년 03월 06일 (수) | 5.4% |
132회 | 2024년 02월 28일 (수) | 5.7% |
131회 | 2024년 02월 21일 (수) | 5.2% |
130회 | 2024년 02월 14일 (수) | 5.6% |
129회 | 2024년 02월 07일 (수) | 5.2% |
128회 | 2024년 01월 31일 (수) | 5.1% |
127회 | 2024년 01월 24일 (수) | 5.1% |
126회 | 2024년 01월 17일 (수) | 5.5% |
125회 | 2024년 01월 10일 (수) | 5.0% |
124회 | 2024년 01월 03일 (수) | 5.9% |
123회 | 2023년 12월 27일 (수) | 5.2% |
122회 | 2023년 12월 20일 (수) | 5.6% |
121회 | 2023년 12월 13일 (수) | 4.6% |
120회 | 2023년 12월 06일 (수) | 5.4% |
119회 | 2023년 11월 29일 (수) | 5.7% |
118회 | 2023년 11월 22일 (수) | 5.8% |
117회 | 2023년 11월 15일 (수) | 5.3% |
116회 | 2023년 11월 08일 (수) | 4.8% |
115회 | 2023년 11월 01일 (수) | % |
114회 | 2023년 10월 25일 (수) | 5.5% |
113회 | 2023년 10월 18일 (수) | 6.0% |
112회 | 2023년 10월 11일 (수) | % |
111회 | 2023년 09월 20일 (수) | % |
110회 | 2023년 09월 13일 (수) | % |
109회 | 2023년 09월 06일 (수) | 5.4% |
108회 | 2023년 08월 30일 (수) | 5.9% |
107회 | 2023년 08월 23일 (수) | 6.3% |
106회 | 2023년 08월 16일 (수) | % |
105회 | 2023년 08월 09일 (수) | % |
104회 | 2023년 08월 02일 (수) | 6.3% |
103회 | 2023년 07월 26일 (수) | 5.7% |
102회 | 2023년 07월 19일 (수) | 6.5% |
101회 | 2023년 07월 12일 (수) | 6.6% |
100회 | 2023년 07월 05일 (수) | % |
99회 | 2023년 06월 28일 (수) | % |
98회 | 2023년 06월 21일 (수) | % |
97회 | 2023년 06월 14일 (수) | 5.2% |
96회 | 2023년 06월 07일 (수) | 5.7% |
95회 | 2023년 05월 31일 (수) | 5.6% |
94회 | 2023년 05월 24일 (수) | % |
93회 | 2023년 05월 17일 (수) | 5.9% |
92회 | 2023년 05월 10일 (수) | % |
91회 | 2023년 05월 03일 (수) | % |
90회 | 2023년 04월 26일 (수) | % |
89회 | 2023년 04월 19일 (수) | 5.8% |
88회 | 2023년 04월 12일 (수) | 6.4% |
87회 | 2023년 04월 05일 (수) | % |
86회 | 2023년 03월 29일 (수) | % |
85회 | 2023년 03월 22일 (수) | % |
84회 | 2023년 03월 15일 (수) | % |
83회 | 2023년 03월 08일 (수) | % |
82회 | 2023년 03월 01일 (수) | % |
81회 | 2023년 02월 22일 (수) | % |
80회 | 2023년 02월 15일 (수) | % |
79회 | 2023년 02월 08일 (수) | % |
78회 | 2023년 02월 01일 (수) | % |
77회 | 2023년 01월 25일 (수) | % |
76회 | 2023년 01월 18일 (수) | % |
75회 | 2023년 01월 11일 (수) | % |
74회 | 2023년 01월 04일 (수) | % |
73회 | 2022년 12월 28일 (수) | % |
72회 | 2022년 12월 21일 (수) | % |
71회 | 2022년 12월 14일 (수) | % |
70회 | 2022년 12월 07일 (수) | % |
69회 | 2022년 11월 30일 (수) | % |
68회 | 2022년 11월 16일 (수) | % |
67회 | 2022년 11월 09일 (수) | % |
66회 | 2022년 11월 02일 (수) | % |
65회 | 2022년 10월 26일 (수) | % |
64회 | 2022년 10월 19일 (수) | % |
63회 | 2022년 10월 12일 (수) | % |
62회 | 2022년 10월 05일 (수) | % |
61회 | 2022년 09월 28일 (수) | % |
60회 | 2022년 09월 21일 (수) | % |
59회 | 2022년 09월 14일 (수) | % |
58회 | 2022년 09월 07일 (수) | % |
57회 | 2022년 08월 31일 (수) | % |
56회 | 2022년 08월 24일 (수) | % |
55회 | 2022년 08월 17일 (수) | % |
54회 | 2022년 08월 10일 (수) | % |
53회 | 2022년 08월 03일 (수) | % |
52회 | 2022년 07월 27일 (수) | % |
51회 | 2022년 07월 20일 (수) | % |
50회 | 2022년 07월 13일 (수) | % |
49회 | 2022년 07월 06일 (수) | % |
48회 | 2022년 06월 29일 (수) | % |
47회 | 2022년 06월 22일 (수) | % |
46회 | 2022년 06월 15일 (수) | % |
43회 | 2022년 05월 18일 (수) | % |
42회 | 2022년 05월 11일 (수) | % |
41회 | 2022년 05월 04일 (수) | % |
40회 | 2022년 04월 27일 (수) | % |
39회 | 2022년 04월 20일 (수) | % |
38회 | 2022년 04월 13일 (수) | % |
37회 | 2022년 04월 06일 (수) | % |
36회 | 2022년 03월 30일 (수) | % |
35회 | 2022년 03월 23일 (수) | % |
34회 | 2022년 03월 16일 (수) | % |
33회 | 2022년 03월 02일 (수) | % |
골 때리는 그녀들 출연진
중계 & 운영진
배성재 (진행자)
- 배경 & 경력: 스포츠 전문 아나운서 출신으로, 축구 중계와 예능 진행을 모두 소화하는 멀티플레이어입니다.
- 성격 & 역할: 차분하면서도 재치 있는 입담으로 경기 흐름을 매끄럽게 이어갑니다. 팀원들과 운영진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 주는 ‘조율자’ 역할을 담당합니다.
- 관계도 포인트:
- 해설위원 이근호와는 10년 넘는 축구 중계 파트너로 찰떡 호흡
- ‘골 때리는 연맹’ 위원장 하석주와는 합리적 운영 방식을 주고받으며 신뢰 구축
이근호 (해설위원)
- 배경 & 경력: 현역 국가대표 출신 스트라이커로, 2010 남아공 월드컵 등 다수 국제 대회 경험 보유.
- 성격 & 역할: 정확한 전술 분석과 날카로운 한 방 멘트로 시청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며, 선수들의 플레이를 깊이 있게 해설합니다.
- 관계도 포인트:
- 배성재와는 중계 호흡이 좋아 ‘찰떡콤비’로 불림
- 감독진(이영표·최진철 등)에게 전술적 피드백을 보내는 핵심 채널
하석주 (‘골 때리는 연맹’ 위원장)
- 배경 & 경력: 전 프로 심판 출신으로, 현 리그 운영 총괄.
- 성격 & 역할: 원칙주의자이면서도 유연하게 예능 요소를 배치하는 운영자. 경기 규칙과 공정성을 최우선시합니다.
- 관계도 포인트:
- 진행자·해설위원과는 ‘유쾌한 신사 대결’ 같은 브랜딩 연출
- 선수협회장 조혜련과 협업해 선수 복지 및 리그 발전 방안 논의
FC 구척장신 팀
- 팀 컬러: 흰색 / 감독: 이영표
- 팀 콘셉트: 모델·연예인 출신의 ‘비주얼·키 플레이어’ 집합체
- 감독 이영표의 ‘짧은 패스 위주 빌드업’ 전술을 완벽하게 소화
- 모델 라인 간의 친분을 바탕으로 ‘비주얼 플레이’와 ‘전략적 움직임’ 균형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이현이 | 전 축구 국가대표 | 중앙 미드필더 | 중·장거리 패스의 탁월함으로 경기 템포 조율, 안정적인 패스 분배 |
차서린 | 전 여자프로골퍼 | 윙어 | 골프에서 다진 밸런스로 드리블 능력 우수, 빠른 침투력 |
허경희 | 모델 겸 방송인 | 수비수 | 신체 조건을 활용한 안정적 수비, 공중볼 경합에서 우위 |
진정선 | 배우 | 공격형 미드필더 | 페인트 동작과 개인기로 수비진을 흔들며 공격 기회 창출 |
김진경 | 전 유소년 국가대표 | 수비형 미드필더 | 중원 장악력과 인터셉트 능력, 수비 전환 시 빌드업 시작점 역할 |
이혜정 | 모델 | 세트피스 킥커 | 프리킥·코너킥 상황에서 높은 정확도, 득점 기회 연결 |
FC 개벤져스 팀
- 팀 컬러: 노란색 / 감독: 최성용
- 팀 콘셉트: 개그우먼 출신 멤버들이 만들어내는 ‘웃음 폭탄’과 스피디한 역습
- 유쾌한 분위기 속에서도 매 경기 집중력을 잃지 않는 단단한 조직력
- 최성용 감독의 ‘속도 축구’ 전술을 바탕으로 빠른 패스와 침투 연계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김민경 | 개그우먼 | 공격수 (스피드형) | 빈 공간을 찾아 빠르게 침투, 역습을 주도하며 득점 찬스 창출 |
김혜선 | 전 씨름선수 | 수비수 (헤더 강점) | 피지컬과 점프력으로 aerial duel 우세, 세트피스 수비 핵심 |
오나미 | 개그우먼 | 미드필더 (조율형) | 넓은 시야로 중원 조율, 공격 전개 시 패스 허브 역할 |
김승혜 | 개그우먼 | 수비형 미드필더 | 체력과 수비 집중력으로 중원 차단, 수비 전환 시 빌드업 시작점 역할 |
허민 | 코미디언 | 윙어 (라인 브레이커) | 측면 돌파 후 1:1 상황에서 상대 수비 허무는 드리블 능력 보유 |
박진주 | 개그우먼 | 공격수 (결정력형) | 박스 안에서 침착한 마무리 능력, 페널티 에어리어 내 위치 선정 우수 |
문민정 | 개그우먼 | 미드필더 (스피드) | 빠른 스프린트로 역습 지원, 측면 크로스 상황에서 날카로운 킥 제공 |
FC 불나비 팀
- 팀 컬러: 파란색 / 감독: 최진철
- 팀 콘셉트: 30대 이상 미혼·돌싱 여성들의 단단한 팀워크
- 안정적인 수비 라인과 미드필더의 유기적 연계로 ‘철벽 수비 → 빠른 역습’ 전술 구사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안혜경 | 배우 | 미드필더 (조율형) | 넓은 시야로 공격·수비 전환 시 템포 조절 |
채연 | 가수 | 윙어 (속도형) | 빠른 스프린트와 드리블로 측면 돌파 주도 |
한초임 | 배우 | 수비수 (중앙) | 강력한 태클과 조직적 수비 지휘 |
강보람 | 방송인 | 미드필더 (테크니컬) | 유연한 볼 컨트롤과 짧은 패스로 중원 연결 |
이주리 | 체조선수 출신 | 수비수 (풀백) | 뛰어난 점프력과 민첩성으로 크로스 차단 |
이승연 | 모델 | 윙백 | 롱패스와 오버래핑으로 공격 지원 |
FC 국대 패밀리 팀
- 팀 컬러: 빨간색 / 감독: 백지훈
- 팀 콘셉트: 국가대표 출신 또는 그 가족으로 구성된 탄탄한 전력
- 대표팀 경험자들의 조직력과 가족 간의 유대가 어우러진 ‘정밀·강력 전술’ 수행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김수연 | 前 유소년 국가대표 | 미드필더 (중거리 슈팅) | 중거리 슈팅 능력으로 공격 전환 시 위협적인 장면 창출 |
황희정 | 전 국가대표 (左발 킥) | 수비수 | 왼발 킥의 정교함과 강력한 태클으로 수비 안정화 |
나미해 | 前 코치 | 미드필더 (전술형) | 높은 전술 이해도 기반 전술 지시 및 중원 조율 |
김민지 | 전 주니어 대표 | 윙어 | 빠른 크로스와 드리블로 측면 공격 전개 |
박승희 | 전 국가대표 레슬러 | 수비형 미드필더 | 강력한 피지컬로 중원 장악 및 상대 공격 차단 |
박하얀 | 전 유스 대표 | 조율형 미드필더 | 안정적인 볼 배급과 빌드업 시작 역할 |
FC 액셔니스타 팀
- 팀 컬러: 주황색 / 감독: 이근호
- 팀 콘셉트: 배우 출신 스타들의 화려한 개인 기술과 스타성
- 스타성 있는 멤버들의 자신감 넘치는 개인 플레이와 협력으로 ‘화려함+효율성’ 조화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정혜인 | 프로 골퍼 출신 | 수비수 | 정확한 킥력과 전략적 위치 선정으로 수비 라인 안정화 |
박하나 | 뮤지컬 배우 | 공격수 (공중볼) | 뛰어난 점프력과 헤딩으로 공중볼 경합 우위 점유 |
이주연 | 배우 | 골키퍼 | 안정적 선방 능력과 빠른 리액션 |
박지안 | 배우 | 중앙 공격수 | 침착한 마무리와 위치 선정으로 득점 기회 극대화 |
이영아 | 배우 | 윙어 (드리블) | 빠른 드리블로 수비진을 무너뜨리고 크로스 상황 창출 |
태미 | 퍼포먼스 팀 출신 | 윙어 | 탁월한 순발력과 민첩성으로 측면 공격 강화 |
FC 월드 클라쓰 팀
- 팀 컬러: 분홍색 / 감독: 김병지
- 팀 콘셉트: 외국인 연예인 중심, 기술과 박력의 결합
- 각국 스타일이 조합된 전술적 다양성과 박력 넘치는 플레이로 ‘예측불가 전개’ 강조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사오리 | 댄서 출신 | 미드필더 (키핑) | 볼 키핑 능력으로 중원에서 볼 소유율 유지 |
엘로디 | 모델 | 윙어 (크로스) | 정확한 크로스로 공격 전개에 기여 |
나티 | 유튜버 | 윙어 (속도) | 빠른 측면 돌파와 개인기로 찬스 메이킹 |
케시 | 모델 | 세트피스 킥커 | 코너킥·프리킥에서 정밀한 킥으로 득점 기회 연계 |
애기 | SNS 인플루언서 | 윙백 | 유연한 움직임으로 수비 및 오버래핑 지원 |
카라인 | 모델 | 수비수 | 피지컬과 높이 활용한 수비 장악 |
FC 원더우먼 팀
- 팀 컬러: 검정색 / 감독: 조재진
- 팀 콘셉트: 분야별 여성 스타들이 모여 펼치는 화려한 기술 축제
- 각자 분야의 개인기가 모여 ‘다채로운 전술+강력 시너지’ 형성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키썸 | 래퍼 | 윙어 (속도) | 빠른 스프린트와 드리블로 공격 전개 |
소유미 | 배우 | 중앙 미드필더 | 중원 조율과 안정적인 패스 분배 |
김설희 | 모델 | 수비수 | 긴 신체 조건을 활용한 수비 라인 안정화 |
우희준 | 방송인 | 수비형 미드필더 | 전술 이해도 기반의 수비 차단 및 빌드업 지원 |
마시마 유 | 댄서 | 윙백 | 유연한 드리블과 오버래핑으로 공격 지원 |
김소희 | 가수 |
FC 탑걸 팀
- 팀 컬러: 연두색 / 감독: 김태영
- 팀 콘셉트: 가수 출신들의 화려한 개인 기량과 팀워크 균형
- 가수 출신 특유의 리듬감과 호흡으로 ‘유연한 패스→속도 축구’ 전술 전개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채리나 | 가수 | 중앙 공격수 | 박스 내 위치 선정과 마무리 능력 |
유빈 | 가수 | 미드필더 (패싱) | 정교한 패스와 빌드업 개시 |
김보경 | 가수 | 윙어 (드리블) | 화려한 드리블과 크로스 |
다영 | 가수 | 미드필더 (전술) | 전술 이해도 기반 경기 조율 |
이채연 | 가수 | 윙어 (속도) | 빠른 침투와 측면 크로스 지원 |
이유정 | 가수 | 수비형 미드필더 | 안정적인 수비 차단과 볼 탈취 |
FC 발라드림 팀
- 팀 컬러: 민트색 / 감독: 현영민
- 팀 콘셉트: 발라드 가수 출신들의 감성적 경기 운영
- 감성적 호흡과 잔잔한 파동 같은 패스워크로 ‘유기적 전개+득점 찬스’ 창출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서기 | 가수 | 미드필더 | 경기 흐름 읽는 능력과 안정적 패스 분배 |
민서 | 가수 | 공격수 (전개) | 공격 전개 시 창의적 움직임으로 찬스 메이킹 |
경서 | 가수 | 미드필더 (조율) | 중원 조율과 템포 컨트롤 |
리사 | 가수 | 윙어 | 측면 크로스와 개인기 |
벤 | 가수 | 최전방 스트라이커 | 강력한 슈팅과 위치 선정 |
정예원 | 가수 | 수비수 | 조직적 수비와 연계 플레이 |
FC 스트리밍파이터 팀
- 팀 컬러: 초록색 / 감독: 박주호
- 팀 콘셉트: 유튜브 크리에이터 연합, 예능감과 전략적 플레이
- 크리에이터들의 예능감과 전술적 이해가 어우러진 ‘유연+재미’ 축구 전개
이름 | 배경 | 포지션 | 특징 & 역할 |
심으뜸 | 크리에이터 | 미드필더 (공격형) | 창의적 공격 전개와 패스 허브 역할 |
깡미 | 크리에이터 | 윙어 (속도) | 빠른 스프린트와 순간 가속으로 측면 돌파 |
앙예원 | 크리에이터 | 미드필더 (조율) | 중원 조율과 볼 분배 |
히밥 | 크리에이터 | 수비형 미드필더 | 안정적인 수비 차단과 빌드업 시작 |
나다 | 크리에이터 | 중앙 공격수 | 침착한 골 결정력과 위치 선정 |
쉐리 | 크리에이터 | 미드필더 (전술) | 전술 이해도 기반 전개 지원 |
골 때리는 그녀들 시놉시스
‘골 때리는 그녀들’은 연예계·스포츠계 여성 스타들이 축구 유니폼을 입고 실전 경기에 나서는 과정을 담습니다. 축구 초보부터 경험자까지 다양한 멤버가 한 팀이 되어, 축구 경기의 기본기와 전략을 익히며 성장하는 모습이 주요 내용입니다.
팀워크와 개인 기량이 조화를 이루는 한편, 코칭 스태프의 지도 하에 승부욕과 친목이 교차하는 드라마틱한 경기 장면이 시청자의 몰입을 이끕니다.
시즌이 거듭될수록 참가 팀도 다양해지고 경기 토너먼트 방식이 도입되며, 더 높은 스펙트럼의 승부가 펼쳐집니다.
매회 스페셜 게스트와 맹훈련, 서프라이즈 미션 등이 더해져 예측 불가능한 재미를 보장하며, 여성 스포츠 마니아와 일반 시청자 모두의 관심을 사로잡았습니다.
골 때리는 그녀들 주요 관전 포인트
- 다양한 출연진 조합: 연예인·전·현직 프로 선수·스포츠 해설가 등 이질적 배경의 멤버들이 만들어내는 케미
- 실전 경기의 긴장감: 리얼 경기 중계 형식을 통해 축구 경기의 재미와 긴장감을 최대한 살림
- 성장 스토리: 축구 초보자가 실력을 늘려가는 과정, 팀 내 서브 스토리와 인간관계
- 스페셜 미션 & 이벤트: 중간중간 삽입되는 미니 게임·훈련 미션이 경기에 변수를 더함
- 감동의 순간: 승리의 기쁨, 패배의 아쉬움이 교차하며 시청자에게 공감과 울림 선사
지금 바로 ‘골 때리는 그녀들’을 통해 여성들의 축구 도전기를 함께 응원하세요! 다음 경기에서는 어떤 드라마가 펼쳐질지, 매주 수요일 밤 SBS TV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의 콜센타 세븐스타즈 시청률, 회차정보 및 편성표 (0) | 2025.06.26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회차정보, 편성표 및 출연진 (2) | 2025.06.26 |
나는 SOLO 편성표, 나는 솔로 그 후 사랑은 계속된다 정보 (4) | 2025.06.25 |
1호가 될 순 없어 2 출연진, 편성표 및 회차정보 (1) | 2025.06.25 |
톡파원 25시 출연진, 편성표 및 회차정보 (0) | 2025.06.24 |